희망케어센터소개
희망케어 센터는
소외계층을 대상(독거노인, 장애인, 수급자 등)으로 보건과 복지를 민간자원과 효율적으로 연계한 다양한 서비스를 시민이 원하는 곳에서 신속하고 편리하게 원스톱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복지시스템입니다.
-
Key Point 1
공공복지의 한계극복!
공공과 민간기관의 통합적 복지서비스 제공
-
Key Point 2
1회 방문으로 원스톱 서비스 제공!
제도권 밖 소외계층, 차상위계층 집중지원
-
Key Point 3
민간의 전문성 및 탄력성 활용!
물리적 확충보다 지역환경 반영 (찾아가는 복지전담센터 설치)
-
Key Point 4
시민의 힘으로 시민을 돕다!
지역이 복지문제를 시민의 기부와 봉사참여로 지역 안에서 해결
희망케어의 역할과 기능
행정복지센터와 희망케어센터를 중심으로 복지플랫폼 완성
시민의 가까운 곳에서 실생활에 꼭 필요한 서비스를 꼭 맞춤형으로 제공
-
돌봄지원
-
생활지원
-
건강의료
-
주거지원
-
정서지원
-
자활지원
-
금융법률
-
고용연계
8개 분야
(돌봄, 생활, 건강, 주거, 정서, 자활, 금융, 고용)30종 서비스, 통합사례관리, 지원관리
희망케어의 발전과정
-
사회서비스 연계 기능 강화(07년 - 09년)
-
2007년
희망케어 4개 권역설치 -
2009년
- 통합사례 관리팀 신설
- 민간기관 배치
-
-
민관협업 근무(12년 - 13년)
-
2012년
- 민관복지협력팀 신설
- 복지전광판 시스템
-
2013년
- 고용복지 공간통합
- 탈빈곤 자활사업 집중
-
-
남양주형 복지허브화(15년 - 16년)
-
2015년
전달체계 개편 시범사업 -
2016년
- 행정복지센터 중심 복지
- 허브화 본격 추진
-
-
지능형 복지도시(2017년 - )
-
사람, 기술, 자원의 초연결 네트워크로 새로운 상생의 가치 확산 (사각지대는 낮아지고, 만족도는 높아짐)
-
- 지역별 복지욕구 분석을 통한 맞춤형 정책개발
- 독거노인 고독사 예방
- 지역자원의 불평등 해소
-
만족도조사
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?
- 최종 수정일
- 2018-11-29